Initial Development of a Scale to Measure Dental indifference (치아에 대한 무관심을 측정을 위한 척도의 초기 개발 2)
상태바
Initial Development of a Scale to Measure Dental indifference (치아에 대한 무관심을 측정을 위한 척도의 초기 개발 2)
  • 정 상 희(강릉영동대학 치위생과 겸임교수)
  • 승인 2005.05.23 11: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Nigel M. Nuttall. Community Dentistry and Oral Epidemiology 1996:24:112-6

신뢰성과 타당성 연구-1993년, 치아 무관심에 관한 설문지는 영국의 1988 Adult Dental Health Survey에 참가하였고 또한 자신들의 치료기록이 Dundee 대학교의 Dental Health Services Research Unit(DHSRU)에 의해 조사되는 것을 허락한 스코틀랜드에 거주하는 910명의 성인 치과환자에게 보내어졌다.

DGSRU 표본에서 각 개인에 대한 정기적인 점검은 연구표본에 참여한 환자가 사망할 때 마다 DHSRU에 통지하는 스코틀랜드 National Health Services Central Register에 근무하는 직원에 의해 기록되었다.

이 장기적인 연구 의 진행과정은 영국의 Data Protection Registrar의 대표자에 의해 자세하게 조사 되었고 만족스러움으로 보고 되었다.

표본은 1988년에 16세부터 80세 사이의 연령층에 속했다. 1988년 조사에서 이루어진 인구조사들(Census) 및 표본검사들(Survey)을 진행한 전 직원들은 표본의 주소에 포함된 성인 82%가 면담 받았고 구강검진을 받은 것으로 추정했다. 설문지를 완료한 사람에게는 약 75불의 상금을 제공했으며 비 응답자에게는 두 번째 설문지와 독촉편지를 보냈다.

표본 중에서 565명(62%)이 응답했다. 응답설문지 중에서 42개는 설문지를 완전히 작성하지 않았기 때문에 523명의 표본만 남기고 이 연구에서 제외시켰다. 응답한 표본 중 500명에게 조사-재조사(Test-retest)에 대한 신뢰성을 평가하기 위해 두 번째 설문지에 응답해 줄 것을 부탁했다. 이 중에서 345명(67%)이 응답했다. 점수방법(Scoring system)은 Fig.1에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각 질문마다 총점에 1점을 더할 수 있는 응답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있을 수 있다. 다수의 응답은 인정되나 한 문제당 최대점수는 1점이다.

예로 8번 문제에서 치과방문을 하지 않는 주된 이유에 대한 응답으로 치과에 갈 시간이 없어서라고 응답하고 또한 정기검진을 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응답할 수 있다.

하지만 이렇게 2개를 응답을 하였다고 하더라도 표본자의 총점에는 단지 1점만 더해진다. 68명의 응답자들은 8번문제의 응답으로 치과방문을 하는 것에 대해 걱정과 불안을 느꼈다고 말했다.

치아 무관심에 대한 표본구성을 동일하게 하기 위하여 치과방문에 불안을 느끼는 68명의 응답자는 특별히 제외하였다. 최종표본 수는 455명으로 줄었다.

결과
(Results)

∙신뢰성(Reliability)-신뢰성은 2개의 방법으로 평가되었다. Cronbach의 alpha에 의해 평가받는 설문지의 내부 일관성은 0.71이었다. Pearson의 상관계수에 의해 평가받는 조사-재조사(Test-retest) 신뢰성은 0.79였다.

∙표준점수(Normative scores) -455명 스코틀랜드의 성인에게서 획득한 점수는 Fig 2에서 보여준다.

∙유효성(Validity)-두 세트의 정보가 설문지의 타당성을 조사하기 위해 사용했다. 두 세트 모두가 1993년에 이루어졌던 치아 무관심에 대한 평가와 일치하지 않았다. 첫째 세트는 1998년에 성인치과건강 조사검사 기준점에서 결정된 표본의 치아상태에 대한 다양한 모양으로 구성되었다. 두 번째 세트는 1988년과 1992년 사이에 표본의 치과치료의 경험과 행동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표본은 그들의 치아무관심에 대한 점수에 기준하여 3그룹으로 나눠졌다. 0점 또는 1점을 기록한 표본은 치아 무관심에 대한 낮은 수준그룹(표본의 23%)에 포함되고 2점과 4점 사이의 점수를 기록한 표본은 중간그룹(표본의 59%)에 포함되고 점수가 5점 이상인 표본은 높은 그룹(표본의 18%)이였다. 카이 제곱 검정(Chi-square test)의 Mantel-Haenszel 확장은 그룹들이 교차하는 선상의 차이점을 위한 조사에 사용했다.

Table 1에는 요인들이 평가되었고 치아 무관심에 대한 점수와 함께 선상에 대한 그들의 정도를 나타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