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코디네이터의 업무수행 및 인식도에 관한 조사연구(Ⅰ)
상태바
치과코디네이터의 업무수행 및 인식도에 관한 조사연구(Ⅰ)
  • 권순복(경복대),김영남(경복대),문희정(여주대)외 3명
  • 승인 2006.03.20 13: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A Study on the Job Performance of Dental Coordinators and Their Perception

서 론

병원 선택에 있어 󰡒풍요의 시대󰡓를 맞고 있는 의료계의 환경은 의료제공자 중심에서 의료 소비자 중심으로 변화하였으며, 이러한 시대적 변화는 의료서비스에 대한 질 향상 욕구증가와 함께 의료시장의 개방, 병․의원의 대형화 및 다양화, 세분화 현상을 가져왔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의해 1994년 미국의 병원경영 사례를 벤치마킹하면서 의료계에 전문 직업으로 코디네이터 개념이 도입되어 일부 치과의 자체 교육으로 시작되었다. 이후 1997년 IMF를 거치며 초유의 경제위기를 맞아 국내의 경기가 침체되었고, 이러한 경기 침체는 의료계에도 예외는 아니어서 치과 의료계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이후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의료산업이 치열한 경쟁국면을 맞이하게 되자 코디네이터는 병원 경영 차별화도구 즉 경쟁력의 일환으로 그 필요성이 이슈화되기 시작하였다.

코디네이터(Coordinator)는 `조정해 주는 사람' 또는 `균형을 이루는 사람'이라는 사전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현재 대형화되고 전문과가 분리되어 진료를 하는 치과병․의원의 경우에는 진료상담 코디네이터, 리셉션 코디네이터, 서비스 코디네이터 등 분야별 코디네이터가 있으며, 치과의사 1인이 진료를 하는 경우에는 대부분 한 사람의 코디네이터가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이러한 코디네이터는 업무수행의 성격에 따라 진료, 상담, 리셉션, 마케팅, 이미지, 홈페이지 관리, 재무, 통역 코디네이터 등 다양하게 세분화되어 영역이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즉 진료 일선에서 직접 의료 행위 제공자들이 환자에게 가장 적절한 치료 및 처치를 제공하는데 집중할 수 있도록 병원의 전체적인 교육, 인사, 조직, 마케팅, 홍보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최선의 노력을 하는 의료서비스 리더로서 경쟁력 있는 병원을 만드는데 핵심적인 위치에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치과코디네이터는 교육기관이나 활동분야별 직무에 대한 편차가 심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업무와 역할에 대한 업무분석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 치과코디네이터 양성은 치과 병․의원을 포함한 사설기관, 치위생과 교육기관, 대학 부설 평생교육원 등 많은 곳에서 기초과정부터 고급과정까지 규격화되지 못한 교육과정을 통해 독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치과코디네이터는 치과위생사의 보다 전문화된 분야이며, 국민들의 구강보건증진에 일익을 담당할 중요한 위치로서 확고한 자리매김을 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치과코디네이터가 도입된 지 10년이 지난 현 시점에서 이들의 업무수행범위와 인식도를 조사하여 직업에 대한 가치관을 정립하고, 향후 치과코디네이터 교육과 업무 수행에 활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 및 방법

2005년 5월 1일부터 8월 8일까지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을 중심으로 코디네이터가 근무하는 치과병의․원을 선정하여 현직 치과코디네이터를 대상으로 직접방문과 우편 및 전자우편을 통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4-11 병원코디네이터 직무분석을 기초로 하여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직무별 코디네이터의 수행업무와 만족도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10.0을 이용하여 빈도 및 ANOVA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1. 연구대상자의 특성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표 1-1과 같다.

치과코디네이터들이 치과 병․의원에서 불리는 명칭은 표 1-2와 같다.

2. 치과코디네이터의 업무

치과병․의원에서 활동 중인 치과코디네이터가 현재 수행 중인 업무는 표 3과 같이 그 업무기준에 따라 6개의 대 항목 즉 고객 관리, 조직 관리, 자기 관리, 마케팅, 원무 관리 및 치과병․의원 시설 관리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이 중 조직 관리, 마케팅 및 치과병․의원 관리의 항목은 타 항목들에 비해 일부 특정 업무를 제외하고는 수행율이 낮게 조사되었다.

우선 주로 수행하는 고객 관리, 자기 관리, 및 원무 관리의 결과를 살펴보면 연구대상자 중에서 현재 수행하고 있는 직무 중 고객관리에서는 예약관리(88.9%), 불만 고객응대(84.3%), 대기시간 관리(84.0%), 계속관리(81.1%), 교육 및 상담(73.6%)의 순으로 수행하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자기관리에서는 서비스 기본매너 갖추기(87.9%)치과 기초지식 이해(83.2%), 고객응대 자세 및 동작이해(81.0%), 상담능력 갖추기(80.8%), 외국어 능력 갖추기(28.2%)의 순으로 수행한다고 응답하였고, 원무 관리에서는 81.3%가 수납을 가장 많이 하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다음으로 접수(79.6%), 문서데이터 관리(67.0%), 보험청구(63.1%)의 순으로 수행한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수행 빈도가 낮은 조직 관리, 마케팅 및 시설관리의 경우 조직 관리에서는 직원 서비스교육(43.7%), 마케팅 항목에서는 정보관리의 수행률(49.5%)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치과병․의원관리에서는 환경관리(64.8%)와 물품관리(55.7%)의 수행률이 상대적으로 높게 조사 되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