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 복합만성질환과 치주질환의 관련성
상태바
[학술] 복합만성질환과 치주질환의 관련성
  • 정윤숙 학술위원(경북대학교 치위생학과 교수)
  • 승인 2024.03.28 10: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비감염성 질환은 세균이나 바이러스와 같은 특정 병원체가 원인이 아닌 흡연이나 과식 등 다양한 건강 위험 생활습관으로 인해 천천히 진행되는 고혈압이나 당뇨, 고지혈증과 같은 만성질환에 해당한다. 우리나라 만성질환자 수는 꾸준히 증가하여 2019년에는 약 1,880만 명으로, 전년 대비 4.4%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1) 만성질환 종류에 관계없이 2가지 이상의 만성질환이 동시에 나타나는 것을 복합만성질환(Multimorbidity)이라고 한다. 치주질환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구강질환 중 하나로 다양한 위험 요인이 있으며 특히 당뇨병과 심혈관질환, 류마티스 관절염 등과 같은 만성질환과의 상호연관성이 꾸준히 보고되고 있다.2)
 
이에 따라 한국 성인의 복합만성질환과 치주질환의 관련성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한「Association between multimorbidity and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 adults: A nationwide cross-sectional cohort study」3) 논문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복합만성질환 이환 수와 치주질환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6-2018) 자료를 활용하였다. 치주질환 유무의 경우 기존에 제공된 자료인 CPI index(community periodontal index)가 3, 4 이상인 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만성질환의 경우 고혈압, 이상지혈증, 뇌졸중, 심근경색증, 협심증, 당뇨병을 의사에게 진단 유무에 따라 정의하였다.
 
만성질환 진단 경험에 따른 치주질환 유병자 수의 경우 만성질환에 진단받지 않은 대상자보다 진단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에 치주질환 유병자가 더 많았고(p<0.05). 진단받은 만성질환의 수가 많을수록 치주질환 이환자의 분포와 CPI index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01). 또한 가중치를 포함하여 성별과 연령을 보정한 평균값에서도 보정 전과 동일하게 만성질환 이환 수에 따라 CPI index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Fig. 1>.
 
Figure 1. CPI index of weighted means and LS-means on number of diagnosed-chronic diseases. 
* p<0.05 by complex sample analysis of variance
abc; Same letters are not significent by Bonfferoni post hoc test(p>0.008)
LSMeans; adjusted sex and age
복합만성질환이 치주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분석한 결과 보정하지 않은 경우에 만성질환 수가 많을수록 치주질환 이환 위험비가 1.620배였고(p<0.001), 성별과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 및 흡연과 음주 경험을 보정한 경우 치주질환 위험비는 1.060배 높았으며(p=0.04), 칫솔질 횟수와 미충족 치과치료 유무를 추가 보정한 경우에는 1.060배로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p=0.06)<Table 1>.
 
Table 1.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on the association between periodontitis and multimorbidity of subjects.
위와 같이 복합만성질환이 치주질환 유병률과 발병 위험 증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만성질환을 가진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하여 전문적인 구강위생관리가 필요하며, 이에 대한 관련 전문 인력들의 이해와 협조가 요구되는 것으로 인식된다. 특히 만성질환의 증가와 치주질환의 높은 유병률은 가계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많은 경제적인 부담을 유발하고 합병증에 의한 건강 악화는 삶의 질 저하로 이어지기 때문에 국가적으로 이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전략을 세우고 국민의 건강을 향상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1)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5th National Health Plan (Health Plan 2030, 2021-2030).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2022.
2)Botelho J, Machado V, Leira Y, Proença L, Chambrone L, Mendes JJ. Economic burden of periodontitis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an updated estimation. J Periodontol. 2022;93(3):373-379. https://doi.org/10.1002/JPER.21-0111
3)Jung YS, Kim YS, Kim KR. (2024). Association between multimorbidity and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 adults: A nationwide cross‐sectional cohort study. Int J Dent Hyg. https://doi.org/10.1111/idh.12785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