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 취약계층 아동 대상 지역사회 기반 구강보건사업의 우식 예방 효과 
상태바
[학술] 취약계층 아동 대상 지역사회 기반 구강보건사업의 우식 예방 효과 
  • 이재영 교수(단국대학교 치위생학과/바이오헬스혁신공유대학 산학연계센터장)
  • 승인 2022.09.28 17:34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지난 8월 아일랜드에서 열린 ISDH 2022에서 해당 주제에 대해 발표하고 있는 이재영 교수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최근 발표한 2021년 상반기 진료비 통계지표에 따르면 외래 다빈도 상병통계에서 4위를 차지할 정도로 치과의료 이용의 비중을 많이 차지하는 항목이다. 교육과학기술부의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초 중 고등학교 학생에서 가장 빈발하게 나타나는 주요 건강문제가 시력이상(53%) 다음으로 치아우식증(25%)이었다.
 
뿐만 아니라 보건복지부 ‘아동 구강건강실태조사’에 따르면, 12세 아동 우식경험영구치 지수는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다 최근 다시 증가한 것으로 보아 혼합 치열의 시점인 아동의 구강건강 수준 향상을 위해 지속적인 노력과 꾸준한 관심으로 관리가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건강보험제도는 현재 급격하게 발전하여 전 국민이 치과의료 보장을 받는 체계를 갖췄으나 선진국에 비해 여전히 보장성이 낮아 취약 계층의 의료 불평등과 의료 빈곤은 증가하고 있다. 치과의료 서비스 접근을 어려움을 겪는 취약계층에서는 상당한 치과의료 불평등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국제적으로 보면 네덜란드의 경우에는 치과 진료 보장범위를 확대하였음에도 사회경제적으로 취약한 아동이 치아우식에 걸릴 위험이 1.5배로 높았으며, 이는 청소년까지 이어져 불평등이 나타났다. 
선진국에서 아동과 청소년에 대한 구강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례가 많지 않지만 아동기에 시행하는 예방적 관리는 중요성이 점점 강조되고 있는 시점이며, 구강질환 특성상 아동과 청소년 시기 집중적으로 발생하기 시작되어 이후에 점점 악화하는 특성이 있기에 국가적 대책 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국내외에서 수행되는 ICT 기술을 활용한 아동 치과주치의 사업은 1차 치과 의료체계를 구축하여 예방 서비스를 지속 제공 가능하고 치과의료 불평등 해소에 이바지 또한 가능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점차 ICT 기술기반의 구강건강관리에 대한 확대가 이루어지고 있고 치과분야에서도 다양한 융‧복합 연구에 따른 임상과 보건영역에서 활용 가능한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필자는 치위생학과 교수이자 디지털헬스케어 회사의 대표로 현재 수행하고 있는 보건복지부, 산업통상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OICA, 한국연구재단의 디지털헬스케어 분야 연구를 소개하고 국내의 다양한 첨단 치위생 연구분야에 대해 이번 ISDH 2022를 통하여 간략하게 소개하는 자리를 가질 수 있었다. 특히, 이미지 기반의 치면세균막 정량 방안기술, AI 기반 치은염 판정 기술,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한 원격구강관리의 시범적 구현 등 실제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한 내용 소개가 이루어졌다.
 
그중에서 지자체에서 수행 중인 통합건강증진사업 중 이번 취약계층 대상 아동 치과주치의 사업의 결과로 2012년부터 2019년도까지의 추적관찰 조사를 수행하고 최종 검진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1,887명의 데이터를 비교분석해 지속적으로 아동치과주치의 제도에 참여하였던 대상자가 그렇지 않은 대상자에 비해 DMFT가 0.26배 낮고, 치아우식 유병률이 참여하지 않았던 그룹에 비해 30% 수준인 것으로 분석하여 보고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이 정부주도의 취약계층 구강보건사업 중 아동 치과주치의가 아동에게서 치아우식증 감소 효과를 압도적으로 높일 수 있다는 기초데이터로 제공될 수 있으며, ICT 기반으로의 구강보건사업 진행에 있어 보다 확산을 높일 수 있는 근거자료로 제공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최근 보건소 주도의 구강보건사업의 다양한 시도에서 검증되지 않은 무분별한 기술 도입, 본래의 용도와 전혀 다른 치면착색 타블렛의 유통이나 관련 보건사업의 확산으로 인해 보건소 주도사업의 대상이 되는 취약계층과 국민들이 피해를 보고 있음에도 관련 안전장치나 정책이 찾아보기 어려운 상황이다. 
 
정부주도의 구강보건사업에서 치과위생사는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지역사회 보건소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는 근거기반의 정책도입에 있어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중추적인 인력으로 거듭나야할 것이라 사료된다.
 
*본 연구내용은 이재영 교수가 ISDH 2022에서 발표한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community-based dental care system for dental caries prevention for vulnerable children : 8 years cohort study” 내용을 요약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정진아 2022-10-31 17:04:56
기사 내용 중 궁금한 게 있어서요,

최근 보건소 주도의 구강보건사업의 다양한 시도에서 검증되지 않은 무분별한 기술 도입, 본래의 용도와 전혀 다른 치면착색 타블렛의 유통이나 관련 보건사업의 확산으로 인해 보건소 주도사업의 대상이 되는 취약계층과 국민들이 피해를 보고 있음에도 관련 안전장치나 정책이 찾아보기 어려운 상황이다.
출처 : 치위협보(http://news.kdha.or.kr)

여기에서 검증되지 않은 무분별한 기술은 어떤 사례가 있었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타블렛 사례도 어떻게 악용이 되었는지 궁금합니다.
또, 근거기반의 정책도입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예시나 좋은 활용방안을 후속기사로 알고 싶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