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 치위생학과 학생에서 의과대학 해부학 교수가 되기까지의 여정
상태바
[사람들] 치위생학과 학생에서 의과대학 해부학 교수가 되기까지의 여정
  • 20기 학생명예기자 김은지(연세대학교 치위생학과)
  • 승인 2024.03.26 17: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건국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최유진 조교수를 만나다

치위생(학)과에 다니는 학생들은 다양한 분야의 진출을 꿈꾼다. 개중에는 대학원을 거쳐 교수가 되기를 희망하는 학생들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대학원을 거쳐 교수가 되는 것은 쉽지 않은 과정이다. 따라서 교수가 되기까지는 어떠한 노력이 필요한지, 극복해야 할 것은 무엇인지 조언을 얻고자 치위생(학)과 출신으로 현재는 건국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 교실에서 활동하고 있는 최유진 교수님과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건국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최유진 조교수
Q. 어떤 과정을 거쳐 해부학 교실의 교수님이 되셨는지, 해부학 교실에서는 어떤 일을 하고 계신지 간단하게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A. 저는 2012년 2월 연세대학교 치위생학과를 졸업 후 곧바로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해부학 교실에서 대학원 생활을 시작했습니다. 박사학위 취득 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 교실에서 보낸 박사후과정은, 치과대학 해부학교육과는 또 다른, 의과대학 해부학 교육의 전반적인 과정을 접할 수 있었던 의미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이후 저는 다시 치과대학 해부학 교실로 돌아와 연구조교수를 하며 총 10년이란 기간을 해부학에만 매진한 끝에, 감사하게도 2023년 3월부로 건국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 교실에 임용되었습니다.
해부학 교실의 가장 주요 업무는 학생 교육입니다. 다른 의대들도 비슷하겠지만, 건국대학교의 경우 해부학 과목만 7학점이며, 그만큼 수업과 실습의 비중이 다른 과목에 비해 높습니다. 의학교육의 시작은 인체의 정상 구조를 먼저 파악해야 하는 것이기에, 해부학자들은 특히나 학생 교육에 저마다의 사명감과 열정을 다해 임하고 있습니다. 다음으로는 연구입니다. 해부학 교실에서는 주로 시신(cadaver)을 이용한 연구를 수행하며, 그 결과를 논문이나 학회를 통해 발표합니다. 논문은 조교수-부교수-교수로 승급할 때까지 각 대학의 교수연구업적 평가 수단으로도 활용되지만, 연구자로서 개인의 연구역량 및 능력을 평가받는 지표로 활용되기에 교육만큼이나 중요한 업무입니다. 우수한 논문업적은 연구비를 지원받을 수 있는 자격요건이 되고, 연구비 지원을 통해 더 양질의 논문업적 달성이라는 선순환이 분명히 존재하기에, 해부학 수업이 없는 학기에는 주로 연구에 집중합니다.
 
Q. 교수가 되기로 마음먹은, 그중에서도 해부학을 공부하게 된 계기가 궁금합니다.
A. 치위생학과 3학년 재학 중, 특성화 실습 기관으로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해부학 교실에 처음으로 발을 들였습니다. 그때를 되돌아보면, ‘해부학을 전공하겠다’라는 생각보다는 단지 ‘집이 가까워서’ 대학원이라는 실습 기관을 정한 것인데, 생각해보면 이 우연한 선택이 지금의 제 인생을 결정했던 것 같습니다. 짧다면 짧은 2주라는 실습기간이었지만, 시신을 해부하고 연구하는 모습이 너무나도 경이롭고 흥미롭게 느껴졌고, 제 인생사에서는 처음으로 ‘나도 해보고 싶다’라는 작은 목적이 생긴 순간이었습니다. 다행히 해부학 교실 교수님들도 저를 좋게 평가해 주셔서, 졸업 후 대학원 진로의 길을 열어주셨고, 당시 연세대학교 치위생학과 학과장이셨던 정원균 교수님과의 상담을 통해 최종적으로 대학원의 길을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감히 언급하기도 부끄러운 학점을 가진 제가 대학원 진학을 희망한다고 하니, 정원균 교수님께서도 적잖이 당혹스러우셨겠지만, 끝까지 저의 선택을 존중해주시고 믿어주신 교수님의 배려에 이 글을 빌려 감사의 인사들 드립니다.
 
Q. 교수가 되기까지 수많은 노력을 하셨을 거라 예상됩니다. 어떤 노력들이 필요했고, 그중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긴 것은 무엇인가요?
A. 가장 중요한 0순위는 당연히 논문업적입니다. 앞서 한 번 언급했듯이, 논문업적이란 그 사람의 연구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가장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평가방법이기 때문입니다. 연구업적도 중요하지만, 해부학 교수는 학생들을 가르칠 수 있는 teaching 능력을 중요하게 평가하기 때문에, 교육업적을 쌓기 위해서도 노력했습니다. 치과대학으로는 원광대학교 치과대학에서 해부학 강의를 3년간 담당했으며, 그 외에도 가천대, 강동대, 남서울대, 대원대, 신한대 등의 치위생(학)과에서 다수의 강의를 맡았습니다. 학회발표 또한 매우 중요한 활동 중 하나입니다. 대학원생 때에는 많은 교수님들 앞에서 제 부끄러운 연구결과를 발표한다는 것이 너무나 떨리고 부담스러웠습니다. 하지만 지속적인 학회발표는 전국의 해부학 교수들 앞에서 ‘나’라는 사람이 꾸준히 해부학 연구를 하고 있음을 알리는 장이 되었으며, 더 나아가 ‘나’라는 사람의 이름이 ‘최유진’이다 라고 알릴 수 있는 자기 PR의 장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Q. 치위생학과 학생이 의과대학 소속의 교수가 되는 과정에서 가장 힘들었던 점은 무엇이며 이를 어떻게 극복해 나가셨나요?
A. 치과위생사로서 치과의 색깔을 지우는 것이 가장 힘들었습니다. 대부분의 의과대학은 의사 면허소지자(MD) 교수를 우선으로 원합니다. 임상교수는 당연히 MD여야 하지만, 기초학 교수 또한 MD 출신을 희망하는 것이죠. 최근에는 저와 같은 박사 학위소지자(PhD)도 지원 가능한 의과대학이 증가하는 추세나, 아직까지 MD 또는 DDS 출신의 자격요건을 두는 의과대학도 상당수 있습니다.
이것은 지극히 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만, 의과대학 입장에서 PhD 출신의 해부학 교수를 뽑는다면, 일단 치과위생사 출신은 뒷순위로 밀릴 것 같습니다. 간호학, 응급구조학 등과 같은 다른 보건계열의 경우 일단 전신을 다루는 학문이지만, 치위생학은 그 이름만으로도 너무 치과에 국한된 성격이 강하기 때문이죠. 하지만 반대로 치과대학에서 해부학 교수를 뽑는다면 단연 치위생학이 가장 우선순위가 되겠죠.
저는 약 5년 전 서울의 모 의과대학 2차 면접에서 이런 질문을 받았습니다. “치과위생사 출신이면 두경부만 배운 거 아닌가요? 관련 논문도 다 두경부 쪽인데 의대 강의가 가능하겠어요?” 변명의 여지가 없었죠. 당시만 하더라도 저는 의대 교수로 방향을 잡기 전이라, 모두 두경부에 관련된 논문만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그 후, 저는 두경부뿐만 아니라 그 외의 부위에 대한 연구도 차곡차곡 진행했습니다. 비록 이력서의 출신 학과를 바꿀 순 없지만, 다양한 논문을 통해 두경부만 할 줄 아는 인재가 아닌, 두경부에 특화된 인재라는 것을 보여주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정리하자면, 학사-박사-연구교수를 모두 치과대학에서 보낸 저의 이력서만 보면 ‘치과’라는 색깔이 너무 강하지만, 두경부 이외 부위의 논문업적을 통해 상쇄시킴으로써 ‘의과’에서도 충분한 역량을 펼칠 수 있음을 보여준 것이 많은 도움이 되었던 것 같습니다.
 
Q. 해부학 교실에 있으면서 교수님의 앞으로의 계획 또는 목표는 무엇인가요?
A. 좋은 후학들을 남기고 싶습니다. 제가 제 목표를 이룰 수 있었던 원동력은 물론 스스로 큰 노력을 했지만, 그보다도 먼저 좋은 스승을 만났기 때문입니다. 스승님의 가르침대로 공부하고, 연구하고, 논문을 쓰다 보니 어느덧 지금 이 자리까지 오게 되었네요. 10년이 넘는 대학원 생활은 제 개인적으로도 인생의 많은 변화가 있던 시기였는데, 돌이켜보니 그때마다 항상 제 스승님이 옆에 있었습니다. 제 결혼식의 주례를 봐주셨고, 제 아이들이 태어났을 때는 병실까지 달려와 아내의 건강을 먼저 걱정해 주셨으며, 제 임용 소식에 누구보다 큰 축하를 해주셨으니깐요.
저도 제 스승님께 받은 은혜를 제 후학들에게 나눠주고 싶은 것이 앞으로의 제 목표입니다. 단순히 가르침을 주고 떠나보내는 스승과 제자의 관계가 아니라, 제 제자가 앞으로 가야 할 길을 알려주고, 성공할 수 있도록 인도해 주는 좋은 스승이 되는 것이 제 작은 목표입니다.
 
Q. 마지막으로 치위생학과 후배들에게 조언 부탁드립니다.
A. 저는 개인적으로 10년의 법칙을 믿습니다. 어떤 분야에서건 10년 이상 전공하면, 그 분야에서는 달인의 경지에 오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최근 많은 학생들이 선호 직종으로 의사를 꿈꿉니다. 저 또한 어렸을 적에는 의사가 꿈이었습니다. 여러분들은 의대생들이 마냥 부럽기만 한가요? 따지고 보면 그들도 초등학교 때부터(요즘은 더 빨라져서 영어유치원부터) 시작하여 중, 고등학교 때까지 10년이 넘는 기간을 남들 놀 때 못 놀고 치열하게 공부하며 얻어낸 성과입니다. 저 같은 경우는 초중고뿐만 아니라 대학생이 돼서도 철없이 논 기억밖에 없네요. 그래서 대학원을 시작하면서부터는, 제 인생을 위해서라도 한 번쯤은 치열하게 살아보자란 결심하게 됩니다. 처음부터 기간을 정하진 않았지만, 돌아보니 저 또한 10년이라는 기간 동안 한 우물을 판 끝에 교수라는 꿈을 이룬 것 같습니다.
제가 말하는 10년의 법칙은, ‘무조건 10년만 버텨라’라는 의미가 아닙니다. 본인이 성취하고자 하는 목표가 있다면 최소 10년이란 시간은 투자할 각오를 하고, 힘들어도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나아간다면 반드시 본인이 원하는 목표를 이룰 수 있다는 것입니다.
여러분들은 아직 젊습니다. 인고 끝에 각계 분야에서 전문가로 활동할 여러분들의 앞날을 응원하겠습니다!
 
취재 및 정리
대한치과위생사협회 20기 학생명예기자 김은지(연세대학교 치위생학과)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