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위생 사정 및 진단
상태바
치위생 사정 및 진단
  • 김은숙 교수(서울보건대학 치위생과)
  • 승인 2001.08.16 10: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정(Assessment)과 진단(Di-agnosis)은 치위생 관리과정의 첫 번째 단계이며 구강위생관리를 제공하기 위해 계속적으로 환제에 대한정보를 주관적(subjective) 및 객관적(objective)으로 수집하여 환자의 요구를 정의하여 진술하는 단계이다.

정보(data)는 다양한 정보원으로부터 얻고, 정보수집활용을 환자의 요구(needs), 문제(prob-lems), 관심(concerns), 반응(response) 등에 대한 정의를 하기위한 건강상태를 고려하여 수집한다.

1. 치위생사정(Dental hygi-ene assessment)

사정단계는 환자에게 개인화 된 질적관리 증진의 기초를 제공한다. 정확하고 완전한 사정은 치위생 진단을 정의하고 치료계획은 발전시키고 치위생 중재를 수행하며 결과(outcome)를 평가하는데 필수적이다.

사정을 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초기에 한시간에서 한시간 반정도 걸리며 사정을 통해 그 환자의 궁극적 목적을 향한 구강위생관리의 진행과정을 문서화하고 상태를 정의하게 된다.

주관적 자료는 환자와의 대화를 통해 관찰하여 얻어지므로 대화기술을 요하고 환자자신과 가족, 보호자로부터 얻는 정보는 증상, 징후, 느낌, 건강관리에 대한 인지, 구강건강에 대한 가치관 등이다. 객관적 자료는 신체와 구강에 대한 검사, 병리 및 임상 검사, 의무기록(병력), 타 건강요원의 관찰 기록 등으로 수집되는 기초자료이다.

1) 사정을 위한 전단계

치위생과가 치위생과정을 수행하는데 있어 우선 과학적 지식과 다양한 대인관계 및 기술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① 지식 : 치위생사는 해부학, 생리학, 약리학, 미생물학, 심리학 등의 기초과목은 이수하고 행동과학을 포함한 다양한 원리로부터 지식체를 소유하며 이러한 지식을 환자의 초기 사정단계에 사용하게 된다.

② 기술 : 효과적인 사정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기술이 필수적이며 그 기술은 지식에 기초하는 대인관계 및 숙련이다. 환자와 대화를 할 때 개방형질문으로 정보를 얻고 환자의 비언어적 행동에 주목하며 치료에 대한 두려움을 이해하고 숙련된 기술로 도구(probe, explorer 등)를 사용하여 정보를 얻는다.

2) 자료 수집 단계

사정을 위해서는 포괄적인 자료수집과 기록이 필요하다.

① 자료 수집 형태 : subjective data, objective data, historical data, current data

② 자료 수집 범위 :

ㆍ일반적 사항

ㆍ개인적 사항-치과환경에 적응하는 태도/치료에 대한 기대/probe시 통증/과거치료내용/식습관

ㆍ내과적 사항-주로 첫 번째 방문때 기록을 하고 추가사항을 주기적으로 기록한다. 일반건강상태/과민성ㆍ알러지유뮤/전체 신체 장기 문제 기록

ㆍ구강외검사-환자를 앉힌후 말투, 외형, 비만정도, 불안정도 등 전체적인 것을 관찰한다. 눈 반사/입술/머리ㆍ목부위/악관절/활력징후

ㆍ구강내검사-촉진과 사진으로 한다. 구강점막/경구개/연구개/인후두 부분/혀/치아검사/교합검사/치주검사/구강위생상태검사/방사선검사/병리적임상검사/임상적으로 필요한 사진

3) 기록

자료수집 내용을 서면화 하는 것이 기록이며 사정단계 동안의 기록은 진단과 계획을 명확하게 해주며 법적 근거가 되므로 치과위생사 자신을 보호하며 치과위생사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가 된다.

①기록의 원칙 : 정확하게 기록하고 타인이 읽기 가능한 상태로 기록하며 수집된 자료의 전반적인 내용을 모두 기록한다.

2. 치위생진단(Dental hygi-ene diagnosis)

치위생진단은 환자가 가지는 증상과 질후 상태를 문장으로 정의하는 단계를 말한다. 즉 환자의 문제에 대한 실제적 및 잠재적 문제를 고려하여 내린 구강위생관리에 대한 의사결정을 문장(진술)으로 정의하는 과정이다.

① 치위생진단과정

사정단계에서 자료수집이 끝나면 문제정의를 하게 되는데 이것을 data processing이라 하고 이때는 합리성, 공평성, 목적성 등을 내포하는 의사결정을 하게 된다.

의사결정 동안에는 자료수집 내용에 대한 분류(classification), 판단(interpretation), 확인(vali-dation)을 함께 한다.

자료에 대한 분류는 영역별로 나누는 과정이며 사정단계에서 연속적으로 수행되고 판단과정에서는 수집 된 자료가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정의하는 과정으로 환자에 대한 증상 등을 합하여 특별한 요인을 알아내는 과정이며 일반적 신체문제, 연조직, 치주조직, 구강 위생관리, 치과치료 등에 대한 환자의 정상치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한다.

② 치위생진단의 구성

전술한 과정 후에 치위생진단을 위해서는 문장으로 표현하게 되는데 이를 진술(statement)이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이러한 진술은 환자의 요구(need)에 초점을 두어 표현 되어야 하며 예방을 위한 실제적 및 잠재적 문제, 치위생 중재를 위한 문제해결을 서술한다.

즉 환자의 문제와 상태를 정의하고 문제를 야기하는 요인을 함께 서술하면 된다.

③ 치과적진단과 치위생진단의 차이

치위생진단은 치과적 수행보다는 더 기본적인 것에 영향을 주므로 치과적 진단과 다르다. 치과적 진단은 특별한 질병(illness)에 대해 정의를 내리는 것에 반해 치위생진단은 질병에 반응 할 수 있는 잠재적 반응에 대해 진술하는 것이다.

치위생진단의 목적은 환자 개인의 욕구(needs)에 초점을 둔 직접적인 치위생관리를 위한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